본문 바로가기
육아

짧은 설소대가 아기에게 미치는 영향 및 관리방법

by new-retti-blog 2025. 8. 11.

1. 설소대란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

설소대는 혀 밑에서 혀를 잡아주는 작은 막 같은 조직이에요. 아기가 혀를 움직일 수 있게 도와주지만, 태어날 때 이 부분이 너무 짧거나 두꺼우면 혀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. 이를 설소대 단축증이라고 부르죠. 혀를 위로 들어 올리거나 앞으로 내미는 동작이 어려워져서 젖을 빠는 힘이 약해질 수 있고, 심하면 발음 발달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 특히 신생아 시기에는 수유와 직결되기 때문에 초기에 관찰과 판단이 필요해요.

 

 

2. 짧은 설소대가 아기에게 미치는 영향

설소대가 짧으면 아기가 젖을 물 때 깊게 물지 못해 젖꼭지를 겉에서만 빨게 됩니다. 이러면

  • 모유를 충분히 삼키지 못해 체중 증가가 느려질 수 있고
  • 젖을 빠는 과정에서 공기가 많이 들어가 속쓰림·가스·복통이 생기거나
  • 엄마는 유두 통증이나 젖몸살을 더 자주 겪게 됩니다.
    또한 돌 이후에는 혀를 윗잇몸 쪽으로 올리기 힘들어 ‘ㄹ’이나 ‘ㄷ’ 발음이 부정확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. 물론 모든 아기가 이런 영향을 받는 건 아니고, 설소대 길이·위치·유연성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.

 

3. 병원 진단과 관찰 포인트

소아청소년과나 소아치과, 이비인후과에서 설소대 길이와 혀 움직임을 확인해 줄 수 있습니다. 진단 시에는

  • 혀를 위로 들었을 때 설소대가 팽팽하게 당기는지
  • 혀끝이 하트 모양으로 갈라지는지
  • 입을 크게 벌렸을 때 혀가 윗잇몸에 닿는지
  • 수유 시 젖 빠는 소리가 ‘쩝쩝’ 크게 나는지
    같은 항목을 봅니다. 경미한 경우는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유연해지기도 하고, 심한 경우엔 **간단한 절개 시술(프레넥토미)**을 고려합니다.

 

4. 치료와 관리 방법

1)  수유자세 조정

목표: 혀 움직임이 부족해도 젖을 깊게 물 수 있게 돕기

      • 턱 받쳐주기: 수유할 때 아기의 턱을 살짝 위로 들어 올려주면 혀가 젖 안쪽까지 들어가기 쉬워집니다.
      • 배밀착 자세: 아기 몸과 엄마 몸이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여, 젖을 깊게 물 수 있게 합니다.
      • 윗입술 젖히기: 젖을 물린 뒤, 아기의 윗입술이 살짝 밖으로 말려 나와 있는지 확인하세요. (말려 들어갔다면 손가락으로 살짝 빼줍니다.)
      • 짧게 자주 수유: 깊게 물기 어렵기 때문에 빨리 지칠 수 있어요. 길게 한 번보다 짧게 여러 번 주는 편이 좋습니다.

2) 설소대 스트레칭 운동

목표: 설소대 유연성 강화, 재유착 방지(수술 후 포함)

      • 손가락 올리기: 깨끗이 씻은 손가락을 혀 밑으로 넣어 설소대를 살짝 들어 올려 2~3초 유지
      • 혀 들기 유도: 아기가 웃거나 울 때 혀를 위로 올리도록 장난감이나 손가락으로 유도
      • 양옆 움직임: 혀를 좌우로 움직이게 하여 근육을 강화
      • 하루 2~3회, 수유 전이나 목욕 후 편안한 상태에서 진행

3) 수유 전 준비 운동

목표: 수유 시 피로 감소, 빨기 효율 향상

      • 수유 전 아기의 입술 주변과 혀끝을 부드럽게 마사지
      • 입술을 살짝 벌려 손가락을 넣고, 아기가 빨도록 유도하여 ‘흡착력’ 깨우기
      • 혀 밑을 손끝으로 살짝 눌러 당겨준 후 바로 수유 시작

4) 수술 후 관리 (프레넥토미 진행 시)

목표: 재유착 예방과 기능 회복

      • 시술 다음 날부터 하루 3~4회, 1~2주간 설소대 스트레칭 필수
      • 운동은 빠르게, 그러나 매일 → 느리게 하면 아기가 거부감을 더 느낍니다
      • 수유 후 물이나 모유로 입안을 가볍게 헹궈 청결 유지
      • 통증이 심한 경우, 의사 지시에 따라 연령별 안전 진통제 사용 가능

5) 장기적인 발달 관찰

목표: 발음·삼킴·혀 움직임 발달 체크

      • 돌 이후에도 혀끝이 윗잇몸에 닿지 않거나, ‘라, 다, 타’ 발음이 불명확하면 언어치료사 상담
      • 젖병·컵 마시기 시 혀가 앞으로 나오는 습관(혀내밀기)을 줄이는 훈련 필요
      • 이유식 초기부터 부드러운 음식뿐 아니라 혀를 움직여야 하는 약간의 질감 있는 음식 제공

💡 부모 TIP

    • 수유 중 ‘쩝쩝’ 소리가 심하거나, 모유가 입가로 새면 설소대 문제 가능성이 높습니다.
    • 수술 여부는 ‘길이’보다 ‘기능’이 기준입니다. → 수유·발음·혀 움직임이 생활에 영향을 주는지가 핵심.
    • 운동 시 아기가 거부감을 보이면 억지로 길게 하지 말고, 하루 횟수를 늘려 짧게 반복하세요.

 

 

5. 부모가 기억해야 할 점

짧은 설소대는 무조건 수술해야 하는 문제가 아니에요. 아기가 수유를 잘하고 체중이 정상적으로 늘고 있다면 지켜볼 수 있습니다. 반대로 수유 문제·체중 정체·발음 문제 등이 동반된다면 조기에 전문의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. 특히 발음 문제는 돌 전후로 판단이 어렵기 때문에, 수유 단계에서의 불편함이 가장 중요한 관찰 기준이 됩니다.

 

짧은 설소대가 아기에게 미치는 영향 및 관리방법